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한 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신장을 망치는 나쁜 음식과 습관은 무엇일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1111.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1111.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EBS 컬렉션 – 사이언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515,838회 및 좋아요 26,96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고칼륨혈증시 사지감각이상, 근육경련 등이 나타나고, 심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각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으로 오도록 한다. 1. 처방에 따라 동정맥루를 통해 혈액투석을 실시함. 2.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하여 혈중 나트륨 수치를 교정함.
Table of Contents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한 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신장을 망치는 나쁜 음식과 습관은 무엇일까? –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신장은 횡격막 아래 배 뒤쪽에 위치하며 우리 몸의 노폐물을 제거해주고 체내 수분과 염분의 양,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신장에 이상 증상이 생기면 되돌릴 수 없다. 신장이 망가지는 이유를 알아본다.
#신장 #신부전증 #명의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A++자료> 신부전 간호과정 3개(전해질 불균형, 체액과다, 지식 …
간호진단 3개 수록되어있어요.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2. 여과기능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3. 저하된 신기능에 대한 지식부족
Source: www.happycampus.com
Date Published: 11/4/2022
View: 4292
만성신부전/만성신장질환(CRF/CKD)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
만성신부전/만성신장질환(CRF/CKD)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위험성 간호과정 · 하고 싶은 말: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
Source: www.reportshop.co.kr
Date Published: 1/6/2021
View: 8901
Top 26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Best 5 Answer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네이버 블로그 고칼륨혈증 시 허약, 피로, 감각 이상, 경련 등이 있을 …
Source: toplist.avitour.vn
Date Published: 8/7/2021
View: 8839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위험성 간호과정
만성신부전/만성신장질환(CRF/CKD)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위험성 간호과정: 370㎖ checked. (4) 2년 전 hyperkalemia(고칼륨혈증) 있어 본원 …
Source: www.happyhaksul.com
Date Published: 10/17/2021
View: 2264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과 간호
4)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주요 전해질을 제시할 수 있다. 5)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에 관여하는 인체 구조와 기. 능을 설명할 수 있다. 6)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
Source: contents.kocw.or.kr
Date Published: 2/3/2021
View: 4320
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 의약품안전나라
1) 요폐 또는 당뇨병성 신증 등의 신기능 장애 환자, 전신성 질환(심질환, … 6) 만니톨 투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예: 고칼륨혈증, 저칼륨 혈증)의 발달은 …
Source: nedrug.mfds.go.kr
Date Published: 5/13/2021
View: 2849
신증후군 간호진단 – 간호 지침 교육 – 충무병원 3병동 – Daum 카페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 이론적 근거 : 신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되면 방어력이 저하 …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11/25/2021
View: 296
해피캠퍼스 모바일 검색
만성신부전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7. …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2. … 여과율이 감소하고, 소변생성과 수분배설에 이상이 오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Source: 119.205.210.217
Date Published: 12/24/2022
View: 145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한 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신장을 망치는 나쁜 음식과 습관은 무엇일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Author: EBS 컬렉션 – 사이언스
- Views: 조회수 2,515,838회
- Likes: 좋아요 26,967개
- Date Published: 2021. 4.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odM3O4iZ8EQ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case study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young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간호진단1.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간호사정 주 관 적 자 료 객 관 적 자 료 “어지럽고 머리가 너무 아파요.” “속이 메스껍고 몸이 너무 무거워요.” 신기능 감소로 혈액투석을 시작한 지 3개월 됨. 일주일에 3번씩 혈액투석 시행 함. 전해질/BUN,CRE 검사 결과 검사 정상범위 대상자수치 Na 135~145mg/l 123mg/l K 3.3~4.9mEq/dl 6.2mEq/dl Ca 8.8~10.7mg/dl 6.8mg/dl P 2.5~4.5mg/dl 6.0mg/dl 간호목표 (기대되는 결과 진술) 단기목표 : 대상자의 3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치에 도달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계획 이론적 근거 1. 처방에 따라 혈액투석을 실시한다. 2.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한다. 3. 처방에 따라 칼리메이트 관장을 실시한다. 4. 혈중 전해질 수치를 측정한다. 5.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6. 심전도를 모니터한다. 7. 감각, 지각 장애정도를 사정하고 지남력 상태를 관찰한다. 8. 필요에 따라 처방에 의한 전해질 성분을 투여한다. 9.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0.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1. 혈액 투석을 통해 혈액 내 노폐물과 전해질을 배설시켜 혈중 전해질 수치를 교정한다. 2. 이뇨제를 통해 체액량 과다에 대처하여 나트륨 수치를 교정할 수 있다. 3. 칼리메이트 관장을 통하여 칼륨 배출 시킨다. 4. 전해질 수치의 변화는 저혈량증, 쇼크의 증상에 나타날 수 있다. 5. 사구체 여과율 감소에 의해 레닌방출이 증가하고, 신장의 관류증진을 위해 혈압이 상승한다. 6. 고칼륨혈증 시 심전도는 서맥, T파 상승, QRS 확장이 나타난다. 7. 고칼륨혈증 시 허약, 피로, 감각 이상, 경련 등이 있을 수 있다. 7. 전해질 수치를 교정하기 위해 투여한다. 9. 혈액투석 환자 간호의 중요한 부분은 자가간호를 위한 환자 교육이다. 10. 고칼륨혈증시 사지감각이상, 근육경련 등이 나타나고, 심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각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으로 오도록 한다. 간호 수행 1. 처방에 따라 동정맥루를 통해 혈액투석을 실시함. 2.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하여 혈중 나트륨 수치를 교정함. 3. 처방에 따라 포도당수액에 칼리메이트를 섞어 항문에 주입하는 칼리메이트 관장을 실시함. 4. 혈중 전해질 수치를 측정함. 검사 3일 후(월) 5일 후(수) Na 138mg/l 140mg/l K 3.7mEq/dl 4.0mEq/dl Ca 9.4mg/dl 9.1mg/dl P 3.5mg/dl 3.7mg/dl 혈압 맥박 호흡 체온 130/90mmHg 88회/분 20회/분 36.8˚C 5. 활력징후를 측정함. 6. 심전도를 모니터 함. 7. 감각, 지각장애와 지남력 상태를 사정함. -근육허약이 없는지, 걸을 때 휘청거리지 않는지 관찰하며,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지남력 상태를 사정함. 8. 처방에 따라 전해질 성분을 투여함. -의사처방에 따라 전해질 성분을 투여함. 9.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해 식이요법에 대해 교육함. -칼륨 함유량이 많은 녹색잎채소의 섭취를 줄이고, 인 함유량이 많은 아스파라거스, 옥수수 등의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함. 좋은 영양상태 유지를 위해 질좋은 단백질과 적절한 열량을 섭취하도록 교육함. 10.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에 대해 교육함. -고칼륨혈증의 자각 증상으로는 사지 무력감, 사지감각이상, 근육 경련, 흉부 답답함 등이 있음을 교육함.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의 3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치에 도달한다.(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달성) 검사 정상범위 3일 후(월) 5일 후(수) Na 135~145mg/l 138mg/l 140mg/l K 3.3~4.9mEq/dl 3.7mEq/dl 4.0mEq/dl Ca 8.8~10.7mg/dl 9.4mg/dl 9.1mg/dl P 2.5~4.5mg/dl 3.5mg/dl 3.7mg/dl 인쇄
A++자료> 신부전 간호과정 3개(전해질 불균형, 체액과다, 지식부족) 주관적 객관적 자료 엄청 자세함! 레포트
소개글 성인간호학 신부전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진단 3개 수록되어있어요.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2. 여과기능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3. 저하된 신기능에 대한 지식부족
주관적/객관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 자세하게 적어놨어요. 중재는 간호진단 책에 적혀있는 신부전 관련 중재와 이론적 근거 첨부해서 작성했습니다. 각 진단마다 중재 4~8개씩 있습니다.
목차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2. (정상 네프론 수 감소로 인한) 여과기능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3. 저하된 신기능에 대한 지식부족
본문내용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관적 자료)
“ 아침부터 기운도 없고, 계속 토하고 싶었어요.”
“ 꼬박꼬박 챙겨먹지는 않고, 먹을 때도 있고 대체로 불규칙한 것 같아요.”
“ 평소에 좀 짜게 먹는 편이에요.”
(객관적 자료)
R/O: CRF
– V/S: 160/100 – 80 – 20 – 36.0
– 과거력: 10년 전 고혈압, 당뇨 진단
– 배뇨양상: 핍뇨, 빈뇨
– GFR: 40ml/min
– ABGA
– 생화학검사
– UA
간호목표
단기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칼륨수치가 정상수치(3.5~5mEq/L)로 감소한다.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pH가 정상범위(7.35~7.45)로 돌아온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만성신부전/만성신장질환(CRF/CKD)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위험성 간호과정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 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Top 26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Best 5 Answer
이런 증상이 있다면 나도 모르게 신장(콩팥)이 병들어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신장검사 꼭 받아보세요.
이런 증상이 있다면 나도 모르게 신장(콩팥)이 병들어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신장검사 꼭 받아보세요.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네이버 블로그
Article author: blog.naver.com
Reviews from users: 6967 Ratings
Ratings Top rated: 4.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네이버 블로그 고칼륨혈증 시 허약, 피로, 감각 이상, 경련 등이 있을 수 있다. 7. 전해질 수치를 교정하기 위해 투여한다. 9. 혈액투석 환자 간호의 중요한 부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네이버 블로그 고칼륨혈증 시 허약, 피로, 감각 이상, 경련 등이 있을 수 있다. 7. 전해질 수치를 교정하기 위해 투여한다. 9. 혈액투석 환자 간호의 중요한 부분 …
Table of Contents: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신증후군 간호진단 – ─♥ 간호 지침 교육 – 충무병원 3병동
Article author: m.cafe.daum.net
Reviews from users: 36358 Ratings
Ratings Top rated: 4.4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신증후군 간호진단 – ─♥ 간호 지침 교육 – 충무병원 3병동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 이론적 근거 : 신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되면 방어력이 저하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신증후군 간호진단 – ─♥ 간호 지침 교육 – 충무병원 3병동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 이론적 근거 : 신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되면 방어력이 저하 … 모든 이야기의 시작, Daum 카페
Table of Contents:
─♥ 간호 지침 교육
카페 검색
신증후군 간호진단 – ─♥ 간호 지침 교육 – 충무병원 3병동
Read More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Article author: contents.kocw.or.kr
Reviews from users: 23672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4)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주요 전해질을 제시할 수 있다. 5)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에 관여하는 인체 구조와 기. 능을 설명할 수 있다. 6)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4)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주요 전해질을 제시할 수 있다. 5)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에 관여하는 인체 구조와 기. 능을 설명할 수 있다. 6)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
Table of Contents: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Read More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Article author: nedrug.mfds.go.kr
Reviews from users: 18303 Ratings
Ratings Top rated: 3.1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1) 요폐 또는 당뇨병성 신증 등의 신기능 장애 환자, 전신성 질환(심질환, … 6) 만니톨 투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예: 고칼륨혈증, 저칼륨 혈증)의 발달은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1) 요폐 또는 당뇨병성 신증 등의 신기능 장애 환자, 전신성 질환(심질환, … 6) 만니톨 투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예: 고칼륨혈증, 저칼륨 혈증)의 발달은 …
Table of Contents:
의약품상세정보
기본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Read More
LIVE GC Labs
Article author: www.gclabs.co.kr
Reviews from users: 30604 Ratings
Ratings Top rated: 4.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LIVE GC Labs 신장기능검사(크레아티닌, BUN, 요산 등) 의미와 결과 해석 2022-04-13 … 심장, 신장 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이 의심되는 경우 칼륨의 수치를 확인합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LIVE GC Labs 신장기능검사(크레아티닌, BUN, 요산 등) 의미와 결과 해석 2022-04-13 … 심장, 신장 질환이나 전해질 불균형이 의심되는 경우 칼륨의 수치를 확인합니다. GC녹십자의료재단의 즐거운 소식을 지금 만나보세요
Table of Contents:
주 메뉴
GC FAMILY SITE
GC RELATED SITE
LIVE GC Labs
Read More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Article author: www.e-ce.org
Reviews from users: 4631 Ratings
Ratings Top rated: 3.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이나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 … 에 의한 대장내시경 전처치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5예의. 경련 증례를 보고하였고, 이중 3예는 기존의 환자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이나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 … 에 의한 대장내시경 전처치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5예의. 경련 증례를 보고하였고, 이중 3예는 기존의 환자 …
Table of Contents: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avitour.vn/blog/.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case study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young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간호진단1. 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간호사정 주 관 적 자 료 객 관 적 자 료 “어지럽고 머리가 너무 아파요.” “속이 메스껍고 몸이 너무 무거워요.” 신기능 감소로 혈액투석을 시작한 지 3개월 됨. 일주일에 3번씩 혈액투석 시행 함. 전해질/BUN,CRE 검사 결과 검사 정상범위 대상자수치 Na 135~145mg/l 123mg/l K 3.3~4.9mEq/dl 6.2mEq/dl Ca 8.8~10.7mg/dl 6.8mg/dl P 2.5~4.5mg/dl 6.0mg/dl 간호목표 (기대되는 결과 진술) 단기목표 : 대상자의 3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치에 도달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계획 이론적 근거 1. 처방에 따라 혈액투석을 실시한다. 2.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한다. 3. 처방에 따라 칼리메이트 관장을 실시한다. 4. 혈중 전해질 수치를 측정한다. 5.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6. 심전도를 모니터한다. 7. 감각, 지각 장애정도를 사정하고 지남력 상태를 관찰한다. 8. 필요에 따라 처방에 의한 전해질 성분을 투여한다. 9.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0.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1. 혈액 투석을 통해 혈액 내 노폐물과 전해질을 배설시켜 혈중 전해질 수치를 교정한다. 2. 이뇨제를 통해 체액량 과다에 대처하여 나트륨 수치를 교정할 수 있다. 3. 칼리메이트 관장을 통하여 칼륨 배출 시킨다. 4. 전해질 수치의 변화는 저혈량증, 쇼크의 증상에 나타날 수 있다. 5. 사구체 여과율 감소에 의해 레닌방출이 증가하고, 신장의 관류증진을 위해 혈압이 상승한다. 6. 고칼륨혈증 시 심전도는 서맥, T파 상승, QRS 확장이 나타난다. 7. 고칼륨혈증 시 허약, 피로, 감각 이상, 경련 등이 있을 수 있다. 7. 전해질 수치를 교정하기 위해 투여한다. 9. 혈액투석 환자 간호의 중요한 부분은 자가간호를 위한 환자 교육이다. 10. 고칼륨혈증시 사지감각이상, 근육경련 등이 나타나고, 심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각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으로 오도록 한다. 간호 수행 1. 처방에 따라 동정맥루를 통해 혈액투석을 실시함. 2.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하여 혈중 나트륨 수치를 교정함. 3. 처방에 따라 포도당수액에 칼리메이트를 섞어 항문에 주입하는 칼리메이트 관장을 실시함. 4. 혈중 전해질 수치를 측정함. 검사 3일 후(월) 5일 후(수) Na 138mg/l 140mg/l K 3.7mEq/dl 4.0mEq/dl Ca 9.4mg/dl 9.1mg/dl P 3.5mg/dl 3.7mg/dl 혈압 맥박 호흡 체온 130/90mmHg 88회/분 20회/분 36.8˚C 5. 활력징후를 측정함. 6. 심전도를 모니터 함. 7. 감각, 지각장애와 지남력 상태를 사정함. -근육허약이 없는지, 걸을 때 휘청거리지 않는지 관찰하며,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지남력 상태를 사정함. 8. 처방에 따라 전해질 성분을 투여함. -의사처방에 따라 전해질 성분을 투여함. 9.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해 식이요법에 대해 교육함. -칼륨 함유량이 많은 녹색잎채소의 섭취를 줄이고, 인 함유량이 많은 아스파라거스, 옥수수 등의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함. 좋은 영양상태 유지를 위해 질좋은 단백질과 적절한 열량을 섭취하도록 교육함. 10.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에 대해 교육함. -고칼륨혈증의 자각 증상으로는 사지 무력감, 사지감각이상, 근육 경련, 흉부 답답함 등이 있음을 교육함.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의 3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치에 도달한다.(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10일 이내에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달성) 검사 정상범위 3일 후(월) 5일 후(수) Na 135~145mg/l 138mg/l 140mg/l K 3.3~4.9mEq/dl 3.7mEq/dl 4.0mEq/dl Ca 8.8~10.7mg/dl 9.4mg/dl 9.1mg/dl P 2.5~4.5mg/dl 3.5mg/dl 3.7mg/dl 인쇄
신증후군 간호진단
간호진단 : 1. 조직 내 수분축적과 관련된 체액과다 2.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5. 신체상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저하 1. 조직 내 수분축적과 관련된 체액과다 1) 사정 ① 전신부종 ② 복수 ③ 체중증가 ④ 소변량감소 ⑤ 쇠약감 ⑥ 피로감 ⑦ 호흡곤란 ⑧ 저알부민혈증 ⑨ 고지혈증 ⑩ 소변검사이상 (단백뇨, 뇨비중변화,혈뇨) 2) 목표 • 혈중 전해질 농도가 정상 범위에 있다. • 체중이 정상범위에 있다. 3) 계획 및 중재 ① 부종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I/O를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 체내 수분균형 상태를 반영한다. ③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탈수, 건조한 점막, 피부 긴장성 저하) ④ 동일조건(시각, 체중계, 배뇨상태, 옷, 의식상태)에서 매일 체중과 배 둘레를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체중변화는 수분과다, 탈수를 반영하며 배 둘레는 복수의 정도를 반영한다. ⑤ 호흡의 양상을 관찰한다. (호흡수, 리듬, 호흡음, 깊이, 흉부견축정도) 이론적 근거 : 폐부종 시 호흡양상의 변화가 있다. ⑥ 좌위 및 반좌위를 취해준다. 이론적 근거 : 복수로 인한 횡격막 상승을 줄여 폐 확장을 도모한다. ⑦ 염분 및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이론적 근거 : 순환혈액량의 부족은 부신피질을 자극하여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하며, 이는 세뇨관에서의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켜 체내수분축적의 요인이 된다. ⑧ 견딜 수 있는 수준의 활동을 권장한다. 2.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1) 사정 ① 발적 ② 부종 ③ 피부 층의 파괴 ④ 창백 ⑤ 피부표면의 파괴 2) 목표 • 피부손상이 없다. 3) 계획 및 중재 ① 피부통합성 장애와 관련된 내외적 위험요인을 관찰한다. ② 부종의 정도를 관찰한다. ③ 피부에 발적, 상처가 없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 피부이상의 조기발견과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다. ④ 옷이나 침구를 구김없이 해 준다. 이론적 근거 : 옷이나 침구 구김 시 마찰로 인한 피부손상가능성이 높아진다. ⑤ 비누 사용을 제한한다. ⑥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이론적 근거 : 피부 괴사, 표피 파괴, 세균증식을 억제한다. ⑦ 체위를 변경 해준다. 이론적 근거 : 부종으로 인한 피부압박부위는 혈액, 산소 및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피부손상을 받는다. ⑧ 부종부위는 로션을 2~4hr 마다 바르고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3.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 사정 ① CBC 혈액수치 (백혈구, 호중구) ② 투약 (스테로이드) ③ 부종 ④ 활력징후 2) 목표 •고열없이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이다. 3) 계획 및 중재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③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 혈액검사는 백혈구와 호중구의 감소를 통해 감염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④ 모든 환자와 접촉시 손을 깨끗이 씻는다. 이론적 근거 : 교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⑤ 마스크, 장갑 등 적절한 격리법을 사용한다. ⑥ 감염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설명한다.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하며 비위생적 환경을 조정한다.) 이론적 근거 : 신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되면 방어력이 저하된다. ⑦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⑧ 환아의 환경에서 꽃과 식물을 제거한다. 이론적 근거 : 감염 전파의 원인이 된다. ⑨ 피곤하지 않게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⑩ 감염을 옮길 수 있는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⑪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경우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⑫ 부종 부위에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자주 목욕하고 파우더를 바르며 남아의 경우 성기와 습기찬 부위를 잘 관리해 주어야한다. 부종이 있는 피부 표면이 서로 닿지 않게 한다. 측위를 취할 경우 양쪽 다리 사이를 베개로 지지한다. 부종 감소를 위해 머리를 상승시킨다.) ⑬ 감염되지 않도록 가능하면 서혜부의 정맥천자와 둔부의 근육주사를 피한다. 이론적 근거 : 사지 부위에 침습적 처치를 하는 것은 감염의 위험 이외에도 저혈량증, 혈액정체, 응고인자의 혈장농축의 증가 때문에 혈전색전증이 생길 수 있다. ⑭ 감염 가능성을 나타내는 증상과 징후를 부모에게 교육한다.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1) 사정 ① 체중증가 ② 오심 ③ 감각운동장애 ④ BUN, Cr 상승 ⑤ 운동기능 저하 2) 목표 ● 활력징후가 정상이다. ● 부종이 감소되었다. ● 피부탄력성이 정상이다. 3) 계획 및 중재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혈압을 다양한 시간에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실시한다. ③ 눈 주위 및 말초부종 상태를 관찰한다. ④ 두통유무를 확인한다. ⑤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 수분이 축적되면 혈압이 오를 수 있다. ⑥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⑦ 필요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 염분으로 인해 수분이 축적되면 혈압이 오를 수 있다. ⑧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수분 과부하를 피하기 위함이다. ⑨ 섭취량, 배설량의 균형을 확인한다. ⑩ 심장효소결과를 확인한다. ⑪ 식사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⑫ 심장에 부담되는 활동을 피하도록 한다. ⑬ 적당한 운동을 격려한다. ⑭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한다. ⑮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5. 신체상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저하 1) 사정 ① 부종 ② 신체상변화 ③ 열등감 ④ 자기비하 ⑤ 신체변화의 거부 ⑥ 대인관계의 변화 ⑦ 우울감 ⑧ 불이행 ⑨ 자가간호결핍 ⑩ 두려움 ⑪ 좌절 ⑫ 식욕부진 2) 목표 ● 자가간호가 가능하다 ● 자존심이 향상되며 현 문제에 대응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3) 계획 및 중재 ① 공감적 태도를 유지한다 이론적 근거 : 자존감은 내적과정과 환경사이에 상호작용하는 결과로 학습된다. 따라서 환자와 의료진의 상호작용은 외적환경의 일부로 작용하여 환자의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자존감을 개발시킨다. ② 관심을 가지고 대한다. ③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한다. ④ 환아의 말을 경청한다. ⑤ 가족이나 친지에게 적절한 상호기술을 교육한다. ⑥ 유사문제를 지닌 사람과 만날 수 있도록 조정해준다. ⑦ 목표달성을 하기 위한 환자의 발전에 대해 보상, 칭찬한다. 이론적 근거 : 스스로 자가간호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은 자존감을 높힌다. ⑧ 자신에 대한 책임감을 증가 시키도록 격려한다. ⑨ 타인과 의사소통시 눈을 마주치도록 격려한다. ⑩ 자신의 장점을 파악하도록 격려한다. ⑪ 스트레스 완화법을 배우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급성 두개내 혈종ㆍ뇌출혈이 있는 환자 (급성두개내 혈종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서 두개내 혈종의 존재를 확인하지 않고 투여한 경우, 뇌압에 의해 일시 지혈되었던 것이 두개내압의 감소로 재출혈이 시작될 수 있으므로 출혈원인을 처리하여 재출혈할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 3) 탈수환자,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의 환자 4) 폐부종·폐울혈 환자 5) 대사성 부종(모세혈관 취약 또는 막투과성 문제에 의해 야기된) 환자 6) 무뇨 환자 7)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의 과민반응 환자 8) 긴장성, 과다 긴장성 환자 9) 시험주입 이후 지속되는 핍뇨증/무뇨증 환자 10) 중증 혈량저하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요폐 또는 당뇨병성 신증 등의 신기능 장애 환자, 전신성 질환(심질환, 간질환 등)에 따른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신장에서의 배설이 감소되어 있고 혈장침투압이 상승하여 순환혈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신부전 환자의 경우 가능한 한 만니톨 주입 용액의 반복 투여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두개 손상 환자 3) 12세 이하 소아 4) 임부 5) 고령자 6) 고혈량증 환자 3. 이상반응 1) 순환기계 : 드물게 흉부압박감, 협심증, 빈맥,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2) 뇌압변동 : 드물게 두통, 구역, 구토,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다. 3) 신장 : 대량투여에 따라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또한 비가역적 공포신증, 요폐, 요산뇨증, 과량투여시 급성 핍뇨성 삼투압성 신부전,질소혈증, 무뇨, 혈뇨, 감뇨증, 다뇨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4) 대사 : 체액, 전해질평형실조가 나타날 수 있으며 과량 투여시 산증이 나타날 수 있다. 5) 과민반응 :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는 이 약에 중증의 알레르기 반응, 심장정지, 호흡곤란, 발한, 기침, 근육통, 발진, 가려움증, 전신통증, 불편감 또는 아나필락시가 나타날 수 있다. 6) 전해질 이상(대사성 산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 대사성 산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혈량저하증, 말초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7) 이 약의 투여후 진행성 신질환, 심부전 및 울혈성 폐부종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8) 고용량 투여시 중추신경계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9) 주입부위반응 : 정맥염, 염증, 통증, 발진, 홍반, 가려움증, 혈관외유출 관련 부종 및 구획증후군 10) 전신질환 : 무력증, 권태감 11) 신경계 : 혼수, 발작, 혼동, 반동 두개내압증가 12) 기타 : 드물게 오한, 때때로 구갈, 구강건조, 탈수증상, 비염, 시력불선명, 배뇨장애, 배통(back pain), 두드러기, 일시적 근강직, 혈전성 정맥염, 현기증, 정신착란, 빈맥, 열, 경련, 졸음, 탈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3) 국내 시판 후 수집된 중대한 이상사례 분석·평가 결과 확인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다만, 이로서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대사 및 영양계 : 고나트륨혈증 4. 일반적 주의 1) 현저한 핍뇨 환자 또는 신기능이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에 대해서는 다음의 부하테스트(만니톨 테스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부하테스트(만니톨 테스트) 만니톨 주사액을 체중 kg당 0.2 g 또는 12.5 g을 3∼5분간에 걸쳐 1회 투여한다. 적어도 시간당 30∼50 mL의 요량이 2∼3시간동안 배출되면 신기능이 충분하다고 생각되므로 치료를 개시한다. 만약 충분한 요량이 얻어지지 않았으면 동량을 1회 추가로 더 투여한다. 2회 투여하여도 요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만니톨에 따른 치료를 중지한다. 가역적인, 소변량 감소를 동반하는 급성신손상(Oliguric-AKI)은 이 약을 정맥투여한 정상적인 전처치 신기능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약 투여와 관련된 삼투압 신장피질은 일반적으로 만성 또는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신기능을 모니터링한다. 선재성 신장질환 환자, 신부전증에 걸릴 위험이 높은 환자 또는 잠재적으로 신독성 약물이나 다른 이뇨제를 투여받은 환자는 이 약 투여 후 신부전의 위험이 증가한다. 가능한 신독성 약물(예: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또는 다른 이뇨제와 이 약의 병용투여를 피한다. 나중에 무뇨가 생긴 소변량 감소를 동반하는 급성신손상(Oliguric-AKI) 환자는 이 약을 투여받는 동안 심부전, 폐부종, 고혈압 위기, 혼수 및 사망의 위험이 있다. 두 개내압의 감소를 위해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및 이후 체액 및 전해질상태의 변화에 대해 환자의 임상 및 실험실 테스트를 모니터링한다. CNS 독성이 발생하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다. 2) 이 약은 뇌혈류량을 증가시켜 신경외과 환자에게서 수술후 출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이 약의 투여전 환자의 심혈관 상태를 파악한 후에 투여한다. 4) 아나필락시스, 저혈압 및 심장마비 및 사망을 초래하는 호흡곤란과 같은 심각한 과민반응이 보고 되었다. 과민반응이 의심되거나 증상이 보이면 투여를 중지한다. 의사는 적절한 임상적 조치를 제공해야 한다. 이 약 투여 중 또는 투여 후 환자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전해질 및 체액 상태 변화를 실험실 테스트를 모니터링한다. 신기능 이상이 나타난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5) CNS 독성은 만성독성, 예를 들어 혼란, 기면, 혼수상태가 만니톨로 치료된 환자에서 보고되었으며, 일부는 사망을 초래하였다. 특히 신장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CNS 독성은 혈청내 높은 만니톨 농도, 혈청과민성, CNS내 탈수, 저나트륨혈증 또는 전해질의 기타 방해 및 만니톨 투여에 이차적인 산/염기균형 6) 투여량 및 투여기간에 따라 이 약의 투여는 혈량과다증을 유발하여 기존의 울혈성심부전을 야기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부족한 신장배설로 인한 만니톨의 축적은 혈량과다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만니톨에 의한 삼투압이뇨제는 탈수/혈량저하증 및 혈액농축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이 약의 투여는 고삼투압을 유발할 수도 있다. 투여량 및 투여기간에 따라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은 또한 물 및 전해질의 세포내 이동, 삼투압이뇨제 및 또는 다른 메카니즘에 기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심각하고 치명적일 수 있다. 이 약 투여로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 • 고나트륨혈증, 탈수 및 혈액농축 • 저나트륨혈증: 두통, 구역, 발작, 혼수, 뇌부종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성 증상 저나트륨뇌병증을 응급 상황으로 고려한다. • 저/고칼륨혈증. 만니톨 투여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예: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의 발달은 이러한 불균형에 민감한 약물(예: 디곡신, QT 연장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신경근 차단제)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심장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기타 전해질 장애 • 대사성산증/알칼리증 두개내압의 감소를 위한 이 약 투여 동안 및 이후에 체액 및 전해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불균형이 발생하면 투여를 중지한다. 7) 두개내압력의 감소를 위해 이 약 투여 동안 및 이후에 모니터링: • 혈청 삼투압, 혈청 전해질(나트륨, 칼륨, 칼슘 및 인산염 포함) 및 산 염기 균형 • 오스몰캡 • 소변배출량을 포함한 저혈압 또는 고혈압 징후 • 신장, 심장 및 폐기능 • 두개내압 신장, 심장 또는 폐 상태가 악화되거나 CNS 독성이 발생하면 투여를 중지한다. 8) 이 약을 포함하여 10% W/V 또는 그 이상 농도의 고장성 용액이 말초정맥으로 투여될 경우 정맥 자극을 초래할 수 있다. 혈관밖유출과 관련된 구획증후군 및 부종과 같은 다른 심각한 주입부위반응은 이 약의 투여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약은 거대중심정맥으로 투여해야 한다. 9) 고농도의 만니톨은 무기인산염 혈중농도에 대해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만니톨은 에틸렌글리콜 혈중농도 검사에서 거짓양성이 나타날 수 있다. 5. 상호작용 1)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만니톨과 혈액을 함께 투여해서는 안된다. 최소 20 mol/L 염화나트륨이 첨가되어야 가응집을 막을 수 있다. 2) 만니톨 치료는 신장에서 배설되는 약물의 배설을 증가시키고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있다. 리튬과 만니톨 병용 투여시 처음에는 리튬 제거가 증가 할 수 있지만 환자가 저혈량증 또는 신손상을 일으킬 경우 리튬 독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리튬을 투여받는 환자의 경우 이 약으로 치료하는 동안 리튬 용량을 유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리튬과 이 약의 병용투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혈청 리튬 농도와 리튬 독성 징후를 자주 모니터링한다. 3)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다른 이뇨제는 이뇨 강화의 위험성을 염두에 둔 경우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4) 신독성제(예: 사이클로스포린, 아미노글리코시드)와 만니톨의 병용은 신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이 약과 신독성제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 5) 신경독성제(예: 아미노글리코시드)와 만니톨의 병용은 신경독성제의 독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이 약과 신경독성제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 6) 만니톨 투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예: 고칼륨혈증, 저칼륨 혈증)의 발달은 이러한 불균형에 민감한 약물 (예: 디곡신, QT 간격을 연장시키는 약물, 신경근 차단제)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심장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약 투여 중 및 이후에 혈청 전해질을 모니터링하고 심장 상태가 악화되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수유부에 대한 투여 만니톨이 사람의 유즙으로 분비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많은 약물이 사람의 유즙으로 배설되므로 이약을 수유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만니톨은 신장에 의해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약물에 대한 부작용의 위험은 신기능이 손상된 고령환자에서 더 클 수 있다.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환자의 신장, 심장 및 폐 상태 및 정확한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을 평가한다. 9. 신장애에 대한 투여 선재성 신질환 환자, 신부전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 또는 신독성 약물 또는 기타 이뇨제를 투여받는 환자는 만니톨 투여로 신부전 위험이 증가한다.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환자의 신장, 심장 및 폐 상태 및 정확한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을 평가한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 배설의 항진에 따른 급격한 탈수증상, 급성신부전, 혈량과다, 심부전, 고삼투압상태, 산증, 산염기 균형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처치 : 탈수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세포외액 보충액을 투여한다. 또한 급성신부전의 경우에는 배설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한외여과나 혈액투석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점적 정맥주사로만 사용한다. 2) 염화나트륨, 염화칼륨을 추가할 경우, 만니톨침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용액에 결정이 석출되면 온탕에서 50℃로 가온해서 용해시킨 후, 주입하기 전에 체온정도로 식혀서 사용한다. 3) 사용하고 남은 잔액 또는 부유물이 있거나 불투명한 용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4) 투여시 : 강한 이뇨작용이 나타나므로 투여중 카테타 삽입 등에 의한 배뇨처리를 할 것을 권장한다. 5) 정맥주사중 세포외 유출로 국소부종, 피부괴사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입시 용액이 혈관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6) 전해질 없이 혈액 및 만니톨을 동시 투여하지 않는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만성신부전 전해질 불균형 간호진단,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간호진단, 전해질 불균형 간호과정, 전해질 불균형 간호중재, 전해질불균형 간호계획,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저 나트륨 혈증 간호과정, 고 칼륨 혈증 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만성신부전만성신장질환CRFCKD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위험성 간호과정
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사업자 정보확인 | E-mail 수집 거부 | 제휴 및 광고문의 | FAQ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상세보기(대한디-만니톨주사액(25%))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급성 두개내 혈종ㆍ뇌출혈이 있는 환자 (급성두개내 혈종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서 두개내 혈종의 존재를 확인하지 않고 투여한 경우, 뇌압에 의해 일시 지혈되었던 것이 두개내압의 감소로 재출혈이 시작될 수 있으므로 출혈원인을 처리하여 재출혈할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 3) 탈수환자,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의 환자 4) 폐부종·폐울혈 환자 5) 대사성 부종(모세혈관 취약 또는 막투과성 문제에 의해 야기된) 환자 6) 무뇨 환자 7)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의 과민반응 환자 8) 긴장성, 과다 긴장성 환자 9) 시험주입 이후 지속되는 핍뇨증/무뇨증 환자 10) 중증 혈량저하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요폐 또는 당뇨병성 신증 등의 신기능 장애 환자, 전신성 질환(심질환, 간질환 등)에 따른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신장에서의 배설이 감소되어 있고 혈장침투압이 상승하여 순환혈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신부전 환자의 경우 가능한 한 만니톨 주입 용액의 반복 투여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두개 손상 환자 3) 12세 이하 소아 4) 임부 5) 고령자 6) 고혈량증 환자
3. 이상반응
1) 순환기계 : 드물게 흉부압박감, 협심증, 빈맥,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2) 뇌압변동 : 드물게 두통, 구역, 구토,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다. 3) 신장 : 대량투여에 따라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또한 비가역적 공포신증, 요폐, 요산뇨증, 과량투여시 급성 핍뇨성 삼투압성 신부전,질소혈증, 무뇨, 혈뇨, 감뇨증, 다뇨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4) 대사 : 체액, 전해질평형실조가 나타날 수 있으며 과량 투여시 산증이 나타날 수 있다. 5) 과민반응 :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는 이 약에 중증의 알레르기 반응, 심장정지, 호흡곤란, 발한, 기침, 근육통, 발진, 가려움증, 전신통증, 불편감 또는 아나필락시가 나타날 수 있다. 6) 전해질 이상(대사성 산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 대사성 산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혈량저하증, 말초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7) 이 약의 투여후 진행성 신질환, 심부전 및 울혈성 폐부종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8) 고용량 투여시 중추신경계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9) 주입부위반응 : 정맥염, 염증, 통증, 발진, 홍반, 가려움증, 혈관외유출 관련 부종 및 구획증후군 10) 전신질환 : 무력증, 권태감 11) 신경계 : 혼수, 발작, 혼동, 반동 두개내압증가 12) 기타 : 드물게 오한, 때때로 구갈, 구강건조, 탈수증상, 비염, 시력불선명, 배뇨장애, 배통(back pain), 두드러기, 일시적 근강직, 혈전성 정맥염, 현기증, 정신착란, 빈맥, 열, 경련, 졸음, 탈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3) 국내 시판 후 수집된 중대한 이상사례 분석·평가 결과 확인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다만, 이로서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대사 및 영양계 : 고나트륨혈증
4. 일반적 주의
1) 현저한 핍뇨 환자 또는 신기능이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에 대해서는 다음의 부하테스트(만니톨 테스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부하테스트(만니톨 테스트) 만니톨 주사액을 체중 kg당 0.2 g 또는 12.5 g을 3∼5분간에 걸쳐 1회 투여한다. 적어도 시간당 30∼50 mL의 요량이 2∼3시간동안 배출되면 신기능이 충분하다고 생각되므로 치료를 개시한다. 만약 충분한 요량이 얻어지지 않았으면 동량을 1회 추가로 더 투여한다. 2회 투여하여도 요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만니톨에 따른 치료를 중지한다. 가역적인, 소변량 감소를 동반하는 급성신손상(Oliguric-AKI)은 이 약을 정맥투여한 정상적인 전처치 신기능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약 투여와 관련된 삼투압 신장피질은 일반적으로 만성 또는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신기능을 모니터링한다. 선재성 신장질환 환자, 신부전증에 걸릴 위험이 높은 환자 또는 잠재적으로 신독성 약물이나 다른 이뇨제를 투여받은 환자는 이 약 투여 후 신부전의 위험이 증가한다. 가능한 신독성 약물(예: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또는 다른 이뇨제와 이 약의 병용투여를 피한다. 나중에 무뇨가 생긴 소변량 감소를 동반하는 급성신손상(Oliguric-AKI) 환자는 이 약을 투여받는 동안 심부전, 폐부종, 고혈압 위기, 혼수 및 사망의 위험이 있다. 두 개내압의 감소를 위해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및 이후 체액 및 전해질상태의 변화에 대해 환자의 임상 및 실험실 테스트를 모니터링한다. CNS 독성이 발생하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다. 2) 이 약은 뇌혈류량을 증가시켜 신경외과 환자에게서 수술후 출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이 약의 투여전 환자의 심혈관 상태를 파악한 후에 투여한다. 4) 아나필락시스, 저혈압 및 심장마비 및 사망을 초래하는 호흡곤란과 같은 심각한 과민반응이 보고 되었다. 과민반응이 의심되거나 증상이 보이면 투여를 중지한다. 의사는 적절한 임상적 조치를 제공해야 한다. 이 약 투여 중 또는 투여 후 환자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전해질 및 체액 상태 변화를 실험실 테스트를 모니터링한다. 신기능 이상이 나타난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5) CNS 독성은 만성독성, 예를 들어 혼란, 기면, 혼수상태가 만니톨로 치료된 환자에서 보고되었으며, 일부는 사망을 초래하였다. 특히 신장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CNS 독성은 혈청내 높은 만니톨 농도, 혈청과민성, CNS내 탈수, 저나트륨혈증 또는 전해질의 기타 방해 및 만니톨 투여에 이차적인 산/염기균형 6) 투여량 및 투여기간에 따라 이 약의 투여는 혈량과다증을 유발하여 기존의 울혈성심부전을 야기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부족한 신장배설로 인한 만니톨의 축적은 혈량과다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만니톨에 의한 삼투압이뇨제는 탈수/혈량저하증 및 혈액농축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이 약의 투여는 고삼투압을 유발할 수도 있다. 투여량 및 투여기간에 따라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은 또한 물 및 전해질의 세포내 이동, 삼투압이뇨제 및 또는 다른 메카니즘에 기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심각하고 치명적일 수 있다. 이 약 투여로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 • 고나트륨혈증, 탈수 및 혈액농축 • 저나트륨혈증: 두통, 구역, 발작, 혼수, 뇌부종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성 증상 저나트륨뇌병증을 응급 상황으로 고려한다. • 저/고칼륨혈증. 만니톨 투여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예: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의 발달은 이러한 불균형에 민감한 약물(예: 디곡신, QT 연장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신경근 차단제)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심장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기타 전해질 장애 • 대사성산증/알칼리증 두개내압의 감소를 위한 이 약 투여 동안 및 이후에 체액 및 전해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불균형이 발생하면 투여를 중지한다. 7) 두개내압력의 감소를 위해 이 약 투여 동안 및 이후에 모니터링: • 혈청 삼투압, 혈청 전해질(나트륨, 칼륨, 칼슘 및 인산염 포함) 및 산 염기 균형 • 오스몰캡 • 소변배출량을 포함한 저혈압 또는 고혈압 징후 • 신장, 심장 및 폐기능 • 두개내압 신장, 심장 또는 폐 상태가 악화되거나 CNS 독성이 발생하면 투여를 중지한다. 8) 이 약을 포함하여 10% W/V 또는 그 이상 농도의 고장성 용액이 말초정맥으로 투여될 경우 정맥 자극을 초래할 수 있다. 혈관밖유출과 관련된 구획증후군 및 부종과 같은 다른 심각한 주입부위반응은 이 약의 투여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약은 거대중심정맥으로 투여해야 한다. 9) 고농도의 만니톨은 무기인산염 혈중농도에 대해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만니톨은 에틸렌글리콜 혈중농도 검사에서 거짓양성이 나타날 수 있다.
5. 상호작용
1)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만니톨과 혈액을 함께 투여해서는 안된다. 최소 20 mol/L 염화나트륨이 첨가되어야 가응집을 막을 수 있다. 2) 만니톨 치료는 신장에서 배설되는 약물의 배설을 증가시키고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있다. 리튬과 만니톨 병용 투여시 처음에는 리튬 제거가 증가 할 수 있지만 환자가 저혈량증 또는 신손상을 일으킬 경우 리튬 독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리튬을 투여받는 환자의 경우 이 약으로 치료하는 동안 리튬 용량을 유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리튬과 이 약의 병용투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혈청 리튬 농도와 리튬 독성 징후를 자주 모니터링한다. 3)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다른 이뇨제는 이뇨 강화의 위험성을 염두에 둔 경우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4) 신독성제(예: 사이클로스포린, 아미노글리코시드)와 만니톨의 병용은 신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이 약과 신독성제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 5) 신경독성제(예: 아미노글리코시드)와 만니톨의 병용은 신경독성제의 독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이 약과 신경독성제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 6) 만니톨 투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예: 고칼륨혈증, 저칼륨 혈증)의 발달은 이러한 불균형에 민감한 약물 (예: 디곡신, QT 간격을 연장시키는 약물, 신경근 차단제)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심장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약 투여 중 및 이후에 혈청 전해질을 모니터링하고 심장 상태가 악화되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수유부에 대한 투여
만니톨이 사람의 유즙으로 분비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많은 약물이 사람의 유즙으로 배설되므로 이약을 수유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만니톨은 신장에 의해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약물에 대한 부작용의 위험은 신기능이 손상된 고령환자에서 더 클 수 있다.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환자의 신장, 심장 및 폐 상태 및 정확한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을 평가한다.
9. 신장애에 대한 투여
선재성 신질환 환자, 신부전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 또는 신독성 약물 또는 기타 이뇨제를 투여받는 환자는 만니톨 투여로 신부전 위험이 증가한다.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환자의 신장, 심장 및 폐 상태 및 정확한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을 평가한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 배설의 항진에 따른 급격한 탈수증상, 급성신부전, 혈량과다, 심부전, 고삼투압상태, 산증, 산염기 균형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처치 : 탈수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세포외액 보충액을 투여한다. 또한 급성신부전의 경우에는 배설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한외여과나 혈액투석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점적 정맥주사로만 사용한다. 2) 염화나트륨, 염화칼륨을 추가할 경우, 만니톨침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용액에 결정이 석출되면 온탕에서 50℃로 가온해서 용해시킨 후, 주입하기 전에 체온정도로 식혀서 사용한다. 3) 사용하고 남은 잔액 또는 부유물이 있거나 불투명한 용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4) 투여시 : 강한 이뇨작용이 나타나므로 투여중 카테타 삽입 등에 의한 배뇨처리를 할 것을 권장한다. 5) 정맥주사중 세포외 유출로 국소부종, 피부괴사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입시 용액이 혈관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6) 전해질 없이 혈액 및 만니톨을 동시 투여하지 않는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신증후군 간호진단
간호진단 :
1. 조직 내 수분축적과 관련된 체액과다
2.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5. 신체상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저하
1. 조직 내 수분축적과 관련된 체액과다
1) 사정
① 전신부종
② 복수
③ 체중증가
④ 소변량감소
⑤ 쇠약감
⑥ 피로감
⑦ 호흡곤란
⑧ 저알부민혈증
⑨ 고지혈증
⑩ 소변검사이상 (단백뇨, 뇨비중변화,혈뇨)
2) 목표
• 혈중 전해질 농도가 정상 범위에 있다.
• 체중이 정상범위에 있다.
3) 계획 및 중재
① 부종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I/O를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 체내 수분균형 상태를 반영한다.
③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탈수, 건조한 점막, 피부 긴장성 저하)
④ 동일조건(시각, 체중계, 배뇨상태, 옷, 의식상태)에서 매일 체중과 배 둘레를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체중변화는 수분과다, 탈수를 반영하며 배 둘레는 복수의 정도를 반영한다.
⑤ 호흡의 양상을 관찰한다. (호흡수, 리듬, 호흡음, 깊이, 흉부견축정도)
이론적 근거 : 폐부종 시 호흡양상의 변화가 있다.
⑥ 좌위 및 반좌위를 취해준다.
이론적 근거 : 복수로 인한 횡격막 상승을 줄여 폐 확장을 도모한다.
⑦ 염분 및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이론적 근거 : 순환혈액량의 부족은 부신피질을 자극하여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하며, 이는 세뇨관에서의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켜 체내수분축적의 요인이 된다.
⑧ 견딜 수 있는 수준의 활동을 권장한다.
2.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1) 사정
① 발적
② 부종
③ 피부 층의 파괴
④ 창백
⑤ 피부표면의 파괴
2) 목표
• 피부손상이 없다.
3) 계획 및 중재
① 피부통합성 장애와 관련된 내외적 위험요인을 관찰한다.
② 부종의 정도를 관찰한다.
③ 피부에 발적, 상처가 없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 피부이상의 조기발견과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다.
④ 옷이나 침구를 구김없이 해 준다.
이론적 근거 : 옷이나 침구 구김 시 마찰로 인한 피부손상가능성이 높아진다.
⑤ 비누 사용을 제한한다.
⑥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이론적 근거 : 피부 괴사, 표피 파괴, 세균증식을 억제한다.
⑦ 체위를 변경 해준다.
이론적 근거 : 부종으로 인한 피부압박부위는 혈액, 산소 및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피부손상을 받는다.
⑧ 부종부위는 로션을 2~4hr 마다 바르고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3.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 사정
① CBC 혈액수치 (백혈구, 호중구)
② 투약 (스테로이드)
③ 부종
④ 활력징후
2) 목표
•고열없이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이다.
3) 계획 및 중재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③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 혈액검사는 백혈구와 호중구의 감소를 통해 감염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④ 모든 환자와 접촉시 손을 깨끗이 씻는다.
이론적 근거 : 교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⑤ 마스크, 장갑 등 적절한 격리법을 사용한다.
⑥ 감염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설명한다.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하며 비위생적 환경을 조정한다.)
이론적 근거 : 신기능 저하와 관련하여 독성물질이 체내에 축적되면 방어력이 저하된다.
⑦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⑧ 환아의 환경에서 꽃과 식물을 제거한다.
이론적 근거 : 감염 전파의 원인이 된다.
⑨ 피곤하지 않게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⑩ 감염을 옮길 수 있는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⑪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경우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⑫ 부종 부위에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자주 목욕하고 파우더를 바르며 남아의 경우 성기와 습기찬 부위를 잘 관리해 주어야한다. 부종이 있는 피부 표면이 서로 닿지 않게 한다. 측위를 취할 경우 양쪽 다리 사이를 베개로 지지한다. 부종 감소를 위해 머리를 상승시킨다.)
⑬ 감염되지 않도록 가능하면 서혜부의 정맥천자와 둔부의 근육주사를 피한다.
이론적 근거 : 사지 부위에 침습적 처치를 하는 것은 감염의 위험 이외에도 저혈량증, 혈액정체, 응고인자의 혈장농축의 증가 때문에 혈전색전증이 생길 수 있다.
⑭ 감염 가능성을 나타내는 증상과 징후를 부모에게 교육한다.
4. 체액 불균형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1) 사정
① 체중증가
② 오심
③ 감각운동장애
④ BUN, Cr 상승
⑤ 운동기능 저하
2) 목표
● 활력징후가 정상이다.
● 부종이 감소되었다.
● 피부탄력성이 정상이다.
3) 계획 및 중재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혈압을 다양한 시간에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실시한다.
③ 눈 주위 및 말초부종 상태를 관찰한다.
④ 두통유무를 확인한다.
⑤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 수분이 축적되면 혈압이 오를 수 있다.
⑥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⑦ 필요시 항고혈압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 염분으로 인해 수분이 축적되면 혈압이 오를 수 있다.
⑧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 수분 과부하를 피하기 위함이다.
⑨ 섭취량, 배설량의 균형을 확인한다.
⑩ 심장효소결과를 확인한다.
⑪ 식사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⑫ 심장에 부담되는 활동을 피하도록 한다.
⑬ 적당한 운동을 격려한다.
⑭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한다.
⑮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5. 신체상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저하
1) 사정
① 부종
② 신체상변화
③ 열등감
④ 자기비하
⑤ 신체변화의 거부
⑥ 대인관계의 변화
⑦ 우울감
⑧ 불이행
⑨ 자가간호결핍
⑩ 두려움
⑪ 좌절
⑫ 식욕부진
2) 목표
● 자가간호가 가능하다
● 자존심이 향상되며 현 문제에 대응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3) 계획 및 중재
① 공감적 태도를 유지한다
이론적 근거 : 자존감은 내적과정과 환경사이에 상호작용하는 결과로 학습된다. 따라서 환자와 의료진의 상호작용은 외적환경의 일부로 작용하여 환자의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자존감을 개발시킨다.
② 관심을 가지고 대한다.
③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한다.
④ 환아의 말을 경청한다.
⑤ 가족이나 친지에게 적절한 상호기술을 교육한다.
⑥ 유사문제를 지닌 사람과 만날 수 있도록 조정해준다.
⑦ 목표달성을 하기 위한 환자의 발전에 대해 보상, 칭찬한다.
이론적 근거 : 스스로 자가간호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은 자존감을 높힌다.
⑧ 자신에 대한 책임감을 증가 시키도록 격려한다.
⑨ 타인과 의사소통시 눈을 마주치도록 격려한다.
⑩ 자신의 장점을 파악하도록 격려한다.
⑪ 스트레스 완화법을 배우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다음은 Bing에서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한 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신장을 망치는 나쁜 음식과 습관은 무엇일까?
- EBS
- ebs
- EBS컬렉션
- collection
- 자연
- nature
- 자연다큐
- 다큐
- 생태계
- 생태도감
- 메이킹
- BBC
- 내셔널지오그래픽
- 디스커버리
- 과학
- 과학채널
- science
- 과학정보
- 미래과학
- 생명과학
- 유전자
- 우주
- 명의
- 신장
- 신부전증
- 고혈압
- 당뇨
- 신장이 망가지는 이유
- 신장이식
- 콩팥
- 노폐물
- 염분
한 #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신장을 #망치는 #나쁜 #음식과 #습관은 #무엇일까?
YouTube에서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는 신장을 망치는 나쁜 음식과 습관은 무엇일까? | 신기능 저하 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