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 Ubuntu 18.04 듀얼부팅 설치 방법 왕초보도 가능“?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1111.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1111.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구선생 로보틱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4,539회 및 좋아요 20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Ubuntu 18.04 듀얼부팅 설치 방법 왕초보도 가능 –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구선생입니다.
Ubuntu를 듀얼 부팅으로 설치하고 싶은데 실수로 인해 하드가 날아갈까 봐 설치를 망설인적이 있으신가요? 저와 함께 쉬운 방법으로 듀얼 부팅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프로그램 출처
– rufus-3.8.exe
https://rufus.ie/
– ubuntu-18.04.3-desktop-amd64.iso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
구글 드라이브 다운로드 링크
– rufus-3.8.exe
https://drive.google.com/open?id=1vic8Z8Bv5OhdN7aSoCCjvSGLdA80kaOz
– ubuntu-18.04.3-desktop-amd64.iso
https://drive.google.com/open?id=1vio-rbGX75ox0IGSs3KWpOxEnblb6zvq
———————————————————————
관련 영상
– 우분투 포맷 후 재설치 방법 [우분투 초기화]https://youtu.be/o9j_9hCRmms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Tensorflow –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하기 (Portable Ubuntu)
Tensorflow –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하기 (Portable Ubuntu) · 1. 휴대용 OS로 활용하여 여러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 2. OS를 설치하더라도 파티션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2/10/2021
View: 2688
외장하드 우분투 설치완료
플스 외장하드로 쓰던 녀석을 반으로 갈라쳐서 백업/우분투로 나눠서 설치를 끝마쳤다 끼요옷! 우분투 설치 시 윈도우10을 보존하고 설치할지, …
Source: spiritfestival.tistory.com
Date Published: 3/19/2022
View: 1533
[4-2] 외장하드 SSD에 Ubuntu 16.04.1 LTS 설치하기
[4-2] 외장하드 SSD에 Ubuntu 16.04.1 LTS 설치하기. Late Bloomer(This.Lee) 2019. 6. … USB에 우분투가 설치가 된 후, 컴퓨터를 재부팅해주세요.Source: developer-thislee.tistory.com
Date Published: 4/13/2021
View: 2001
[4] 외장하드에 Ubuntu 16.04 설치 – 민아 당긴아의 IT 저장소
[4] 외장하드에 Ubuntu 16.04 설치 · (이거는 삼성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노트북 bios에 진입하는 방법이 있으니 알아보시고 하시면 됩니다! · 3.Source: pmin-a.tistory.com
Date Published: 12/10/2022
View: 9024
[Ubuntu] 외부 SSD에 우분투 18.04LTS 설치하기 – 후냐의 일상
집에 있던 삼성 T5 SSD에 우분투를 설치합니다. 저는 WSL2와 하드디스크에 dual booting을 해보고 한계점을 찾아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ㅠㅠ.
Source: hunya-hunya.tistory.com
Date Published: 8/16/2022
View: 4092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 – dnddnjs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 1. Pixhawk. 이 프로젝트에는 (1) Pixhawk 보드 + PX4 (2) Raspberry Pi + ROS 이 사용 되었습니다. 일단 pixhawk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 …
Source: dnddnjs.gitbooks.io
Date Published: 7/23/2021
View: 7860
애물단지 하드디스크에 리눅스 설치 – Amazing Paul
그래서, 여기서는 외장하드에서 부팅이 가능하도록 리눅스를 설치하기로 한다. 우선은 설치할 외장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모두 지운다. [윈도우키]+[R]을 …
Source: softwares.tistory.com
Date Published: 7/13/2022
View: 7761
휴대용 외부 하드 드라이브에 Ubuntu를 어떻게 설치합니까?
외장 하드 드라이브 시스템 설치 운영 체제: Windows 7휴대용 외장형 하드 디스크 USB 2.0에 Linux Ubuntu를 설치하고 싶습니다. 나는 각양각색의 방법을 읽었지만, …
Source: intrepidgeeks.com
Date Published: 7/26/2022
View: 273
우분투 12.04 편법으로 외장하드에 설치해보기 – SlideShare
우분투 12.04를 설치할 외장하드 + 케이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 설치된 멀쩡한 컴퓨터 -가상머신. -파티션 편집 프로그램(윈도우 비스타 이상은 윈 도우에 내장되어 …
Source: www.slideshare.net
Date Published: 7/20/2022
View: 3096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하기 – 내 맘 대로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하기 … bash shell 삭제 커멘드를 입력하니 Ubuntu GUI 환경이 날라갔습니다. 그래서 Ubuntu 16.04 버전을 내장메모리(SSD SATA)에 …
Source: mjaewonm.tistory.com
Date Published: 9/21/2022
View: 709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Ubuntu 18.04 듀얼부팅 설치 방법 왕초보도 가능.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 Author: 구선생 로보틱스
- Views: 조회수 24,539회
- Likes: 좋아요 203개
- Date Published: 2020. 2.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_J5yi-JVpY
Tensorflow –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하기 (Portable Ubuntu)
외장하드가 파티션이 이루어지지 않은 순정상태라면 보통 위 그림과 같이 unallocated로 하나의 파티션만 나타납니다. 하지만 이전에 파티션을 한 경우 2개 이상의 파티션이 존재할텐데, 이 경우에는 각 파티션마다 우클릭하여 unmount(마운트해제)를 해준 뒤, delete버튼으로 모두 제거해주면 위 그림과 같은 순정상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 이후 똑같이 unallocated를 선택한 상태에서 좌측 상단의 Create —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이제 첫번째 파티션을 설정하는 창이 뜰텐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New size와 File system부분만 설정해주고 Add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각 파티션마다 설정내용은 아래과 같으며, 파티션 순서를 꼭!! 지켜주어야합니다.
주의) 각 파티션 생성 이후에 다음 파티션 생성시에는 꼭 unallocated목록을 선택하고 Create~ 눌러주세요. (unallocated로 남은 잔여 용량 속에서 파티션을 나누어야 하니까 당연하겠죠?)
첫번째 파티션 : 저장소로 사용할 파티션이며, 원하는 할당용량을 New size로 입력하고, File system은 ntfs 로 설정.
두번째 파티션 : Ubuntu를 설치할 영역이며, 최소 8192MB(8GB)를 권장 합니다. 필자의 경우 넉넉하게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50GB를 할당하였습니다. File system은 ext4 .
세번째 파티션 : OS운용을 위한 부가영역인 swap영역이며, 약 2048MB(2GB)정도 면 충분합니다. File system은 linux-swap .
(아래 그림 참고)
두번째 파티션, 세번째 파티션 영역에 먼저 할당할 용량을 정하고 나머지 용량을 저장소로 활용하면 되겠죠? 계산은 계산기로…(입력단위는 MB입니다; 1GB=1,024MB)
Ubuntu를 쓰면서 외장하드 저장소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쓸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자처럼 두번째 파티션에 많은 용량을 할당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최소로 제시한 8GB는 우분투 설치 후 응용프로그램 한두개 설치하고나면 용량이 꽉 차버리기 때문에, 조금 빡빡한 감이 있습니다. 이런 신경 안쓰고 넉넉하게 쓰고 싶으신 분은 조금 더 할당해 주세요. 포맷 없이 나중에 다시 또 gparted를 통해 파티션 할당용량을 조정할 수 있으니 너무 고민을 많이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외장하드 우분투 설치완료
반응형
플스 외장하드로 쓰던 녀석을 반으로 갈라쳐서 백업/우분투로 나눠서 설치를 끝마쳤다 끼요옷!
우분투 설치 시 윈도우10을 보존하고 설치할지, 디스크를 싹 밀어버리고 설치할지, 기타 선택을 할지
3가지의 선택지를 보여주는데 “듀얼부팅”을 목적으로 외장하드에 설치하는 거라면 무조건 “기타”로 진입해야된다.
기타로 진입 후 파티션을 보여주는데 어디에 설치할지 잘 보고 선택하자.
처음 선택을 하게되면 루트를 지정해주라고 지랄지랄 하는데 해당 파티션을 더블클릭한뒤에 ext4로 설정해주고
아래칸엔 “/” 슬래시를 적어주면 된다.
정상적인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컴퓨터 부팅시 Grub가 뜨면서 우분투로 진입할지 윈도우10으로 진입할지 선택창이 뜬다.
필자의 경우 리눅스와는 아예 등을 져버린 희대의 씹새끼 MSI 노트북을 사용중이라
Grub창엔 분명 우분투와 윈도우가 선택지로 뜨는데 윈도우 선택 시 무한 재부팅이 걸려버리는 대참사가 발생되었다.
구글링을 열심히 해봤지만 나같은 케이스는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질 않았다
MSI로 리눅스를 쓰려는 생각 자체가 잘못된거인듯
킹갓 구글신께선 윈도우 – 우분투 순서로 설치했으니 윈도우 부트로더가 뒤졌을 확률이 높다고 하셨는데
야물딱지게 적용해봐도 아 ㅋㅋㅋㅋ 어림도 없지 재부팅빔!
그래서 결국 윈도우는 F11 바이오스창으로 진입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될듯 하다.
내가 선택한 MSI다 악으로 깡으로 광클한다 씨빨..
우분투 설치 시 참고한 자료
1. 무작정 우분투 설치하기
https://medium.com/code-states/%EB%AC%B4%EC%9E%91%EC%A0%95-%EC%9A%B0%EB%B6%84%ED%88%AC-%EC%84%A4%EC%B9%98%ED%95%98%EA%B8%B0-65dae2631ecc
2. 외장하드에 우분투 설치하기
https://developer-thislee.tistory.com/12
3. 하나의 컴퓨터에서 윈도우와 리눅스를 쓰는 방법
4. MSI 노트북에 듀얼부팅으로 Ubuntu 20.04 설치하기
https://phin09.tistory.com/m/48
5. 우분투 20.04 LTS 설치 및 세팅
https://yurmu.tistory.com/m/5
반응형
[4-2] 외장하드 SSD에 Ubuntu 16.04.1 LTS 설치하기
현재 작성하는 글은 ‘[4-1] USB에 Ubuntu 16.04.1 LTS 설치하기’ 와 이어지는 글입니다.
혹시 제 절차를 밟으시는 분들은 먼저 앞글을 봐주시고 이 글을 봐주세요!
바로 설명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것은 제 노트북을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또한, GUI 환경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라는 가정하에 작성하겠습니다.
( 이해가 안되시는 점이 있으시다면 제 개인 SNS에 DM 혹은 댓글을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
이번 포스팅은 내용이 꽤 깁니다. 잘 따라와 주시길…
USB에 우분투가 설치가 된 후, 컴퓨터를 재부팅해주세요. ( SSD가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
BIOS 진입을 해야 합니다. 저는 삼성(samsung) 노트북이니 삼성 로고가 뜨자마자 ‘F2’ 키를 연타했습니다.
( 다른 회사의 노트북들은 진입 키가 다르니 따로 찾아보시고 BIOS 진입해주셔야 합니다 )
삼성로고가 뜰 경우, F2 키를 연타해줘서 BIOS 에 진입해주자
들어가 주시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1. Boot 에 들어가 주세요.
2. 이 부분이 엄청 중요합니다. 이 문제 때문에 전 일주일을 해매며, 우분투를 수십 번 깔고 지우며,
구글링은 물론이고 직접 물어보기도 하고 정말 별 짓을 다했습니다.
하지만 답이 안 나와서 BIOS를 이것저것 건드려보다 결국 해결했습니다.
Secure Boot control 을 꼭 Off 시켜주세요. 안 그러면 우분투 내에서 그래픽 카드 설치 시 100% 오류 납니다.
3. 그런 후에 Boot Device Priority > 에 들어가 주세요.
4. Boot Option #1 이 당연히 Windows Boot Manager 로 설정되어있을 겁니다.
이 부분을 각자의 USB로 선택해주세요. 제 USB 이름은 UEFI: 1100 입니다. 설정해주시면 아래 화면처럼 됩니다.
5. 우측 사이드바 하단의 Save 를 눌러서 Yes 를 선택하고 재부팅해주세요. 그러면 설정 창이 나옵니다.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 을 선택해주시고 Enter 해줍시다. ( 가만히 있어도 일정 시간 이후에 넘어가긴 합니다 )
6. 아래 사진처럼 Ctrl + Alt + T 를 누르셔서 터미널에 진입해준 다음 아래 코드를 입력해줍시다.
( 검색하셔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하지만, 단축기를 외워두는 게 훨씬 편리하고 빠릅니다 )
sudo gparted // ( 어떤 명령어든지 앞에 sudo 를 쳐줍시다 )
7. 조금 기다리시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우측 상단의 /dev/sda (931.51 GiB) 에서 자신이 설치할 SSD를 선택해주세요. ( 저는 /dev/sdb (465.76 GiB) 입니다 )
8.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헷갈리실 수 있는데, 저는 SSD가 순정 상태라 딱히 건드려야 될 부분이 별로 없었습니다.
( 상황에 따라서 포맷을 위해 마우스 우클릭을 하셔서 S wap-off, U nmount, D elete 를 하셔야 합니다 )
/dev/sdb1 exfat Samsung_T5 이 줄을 우클릭 하셔서 U nmount 혹은 D elete 를 해주세요.
9. 그러면 아래 사진처럼 됩니다. 마우스 우클릭 을 해주셔서 아래 사진처럼 N ew 를 눌러줍니다.
10. 그러면 아래 사진처럼 나옵니다. 여기서 건드려야 될 것은 딱 2개밖에 없습니다. New Size (MiB): , File system:
아래 사진에 보이듯이 전, New Size (MiB) 는 472 GB를 할당해줬으며, File system 은 ext4 로 해줬습니다.
남은 4 GB 는 linux-swap 에 할당하도록 하겠습니다. 끝나셨으면 Add 를 해줍시다.
참고로, File system 은 ext4 로 꼭! 해주세요. Linux 환경이나 Mac 환경에서는 NTFS 호환이 불가능합니다.
11. 그러면 아래 사진처럼 됩니다. 남은 공간 unallocated 3.91 GiB 는 위 10. 번의 과정과 똑같이 거치시면 됩니다.
File system: 만 linux-swap 으로 변경해주고 Add 해주시면 됩니다.
12. 그러면 아래 사진처럼 됩니다.
13. 체크 모양을 클릭해줍시다. 조금 기다리시면 설정이 끝납니다.
14. 이제 반 정도 오셨습니다! 조금만 힘내자구여 여러분!
바탕화면의 Install Ubuntu 16.04.1 LTS 를 더블 클릭해줍니다. ‘한국어’ 를 선택해줍시다. ( 이건 자유입니다 )
( 제가 만든 프로그램은 lightdm 을 끄고 작업할 일이 없어서 ‘한국어’ 를 선택했습니다 )
15. 아무것도 체크하시지 마시고 계속 을 눌러줍시다. 굳이 할 필요 없습니다.
16. 여기서 매우 중요 합니다! 무조건 기타 를 선택해주세요!
안 그러면 기존 윈도우 os 날아가버리거나 저희가 원하는 결과의 정반대가 나올 겁니다.
17. 저희가 설치할 SSD를 찾아서 더블 클릭해줍니다. 전 /dev/sdb1 ext4 입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똑같이 설정해주시고 OK 눌러줍시다.
18. 여기도 중요합니다! 실수하지 마세요! 부트로더 설치할 장치가 default 값으로 기본 HDD 혹은 SDD 로 설정되어있는데
꼭 설치할 SSD 로 설정해주세요!
( 혹시나 해서 말하는데 /dev/sdb 로 포괄적으로 설정해주시면 안 되고 설치할 SSD 이름이 같이 나와야 합니다 )
( ex) /dev/sdb Samsung Portable SSD T5 (500.1GB )
19. 그다음 지금 설치를 눌러주시고 계속 을 눌러줍니다. 지역은 당연히 default 값인 Seoul 이구요. 계속 눌러줍시다.
키보드 배치는 한국어 를 선택 후 101/104키 호환을 선택해주시고 계속 을 눌러줍니다.
20. 이름은 곧 id 입니다. 이름(id) 과 암호는 꼭 쉬운 걸 택하세요. 터미널 상에서 암호를 입력할 상황이 매우 많습니다.
또한, 부팅할 때 일일이 로그인하기도 귀찮으니 자동으로 로그인 을 선택해주시고 계속 을 눌러줍니다.
21. 그러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지금 다시 시작 을 눌러줍니다.
22. 아래 사진처럼 *Ubuntu 를 선택해주시고,
재부팅이 성공적으로 되셨다면 설치용 USB는 더 이상 필요가 없으니 포트에서 제거하셔도 됩니다.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겁니다!
우측 사진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모습이다.
만약 다시 Windows OS 로 부팅하고 싶으시다면 BIOS 에 진입하셔서 4. 번 과정을 반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드디어 끝이 보이지 않을 것 같았던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우분투 기본 세팅에 대해서 간략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 외장하드에 Ubuntu 16.04 설치
728×90
USB에 ubuntu를 설치한 과정에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먼저 저번에 USB에 ubuntu를 설치하였습니다. 그 USB를 빼지않고 외장하드까지 꽂아놓은 상태로 노트북을 재부팅 하여줍니다
(다 설치될 때까지 절대 빼면 안됩니다 !!!!!!)
1. 재부팅을 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이때 ‘F2’를 연타하여 bios에 진입합니다
저는 삼성 노트북도 이용해보았고, hp 노트북도 이용해보았습니다.
(이거는 삼성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노트북 bios에 진입하는 방법이 있으니 알아보시고 하시면 됩니다!
++hp는 바이오스가 우분투가 우선이었기에 바로 진입이 가능하였습니다.)
재부팅 F2
2. 자! 이렇게 bios에 진입하였습니다 .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Boot를 눌러줍니다.
BIOS진입 -> Boot
3. 이 부분에서 Secure Boot Control을 off하여 주시고 → Boot Device Priority > 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Boot Option#1이 Windows Boot Manager로 설정되어있는데 이 부분을 USB로 변경하여 줍니다 !!!
(제 기준 USB의 이름은 UEFI: 1100 이었습니다)
여기까지 했으면 save를 눌러 저장하고 재부팅을 합니다. 지금까지는 boot를 바꿔주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부터가 진짜 진짜 시작입니다 !!!
여기서 다시 windows로 진입하려면 유에스비를 다시 꽂고 위 과정을 다시 해주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아래 사진같이 .. 저처럼… 윈도우 잃어요 .. 저는 포맷 했습니다..ㅜ….
ㅠㅠ..
4. 이제부터 ubuntu 체험판으로 파티션을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 를 누르거나 한국어로 변경하였을 경우 Ubuntu 체험하기 를 눌러줍니당
5. 다음으로 좌측 메뉴버튼을 눌러 terminal을 켜주거나 Ctrl + Alt + T 단축키를 통해 terminal을 켜줍니다.
터미널이 실행되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이 명령어는 파티션을 하기위한 명령어입니다)
~$ sudo gparted
6.다음은 우측 상단을 눌러서 우분투를 설치 할 외장하드를 선택해주세요! (꽂아놓은 그 외장하드의 용량을 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어서 새 외장하드에 설치를 할 시에는 순정상태기 때문에 지우지 않아도 되지만
아닌 외장하드 일 경우 Delete, Swap-off, Unmount를 통해서 지워주셔야 합니다 !!!!
7. 이 부분이 조금 헷갈리실겁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ext4와 linux-swap를 만들어줄겁니다!
약 10기가정도를 빼고 ext4를 생성하고 나머지 10기가를 linux-swap으로 생성해줍니다.
8. V (체크모양)을 누른 후 Apply !!
9. 이 과정이 끝났으면 바탕화면에 Install Ubuntu 16.04.1 LTS 을 눌러줍니다.
업데이트 관련은 아무것도 선택하지 마세요.
키보드 배치는 한국어를 선택 후 101/104키 호환을 선택하시고, 지역은 Seoul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가 중요합니다 ★ 기타 ★
기타 선택 !!!
10. 설치할 외장하드를 찾아서 더블클릭 해주세요! 저같은 경우는 /dev/sda1 ntfs 입니다.
11. 그러면 파티션 편집이 나올 것 입니다.
용도: EXT4 저널링 파일 시스템
파티션 포맷 체크!!
마운트 위치 : /
12. 아래 부트로더를 외장하드 이름인 것을 골라주고 위에서의 장치를 선택 한 다음 지금 설치를 눌러주세요!!
13. 이름은 id입니다 그리고 암호는 아주 간단하게 해주세요.
저는 1로 했습니다. 매번 로그인하지 않게 자동으로 로그인 체크!!
14. 이제 우분투 설치가 진행 될 것 입니다. 약 40분 정도 소요됩니다!
이 과정도 끝나고 재부팅후 우분투 화면이 뜨면 USB를 제거해주세요!
이와같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겁니다 ! 여기까지 외장하드에 우분투 설치하기 였습니당.
우분투 설치끝
참고 블로그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aekjongchan&logNo=220841609613
728×90
[Ubuntu] 외부 SSD에 우분투 18.04LTS 설치하기
반응형
오늘은 외부 SSD에 우분투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노트북이 좀 낡아서 내부 SSD 트레이가 단종되는 바람에
집에 있던 삼성 T5 SSD에 우분투를 설치합니다.
저는 WSL2와 하드디스크에 dual booting을 해보고 한계점을 찾아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ㅠㅠ
윈도우 컴퓨터를 쓰면서 개발할 때만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써야 한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세요!
간단히 제가 왜 외부 SSD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1. 노트북이 단종되어 내부 SSD용 트레이를 구하기 어려움
2. Ubuntu에서 UnrealEngine4와 같은 용량이 큰 프로그램을 돌릴 예정
3. WSL2의 한계점: ROS+Gazebo 개발 시 Xming을 일일이 실행해야 하는 귀찮음
위와 같은 이유로 외부 SSD에 우분투를 설치합니다.
요즘 WSL2나 Docker처럼 윈도우 컴퓨터에서도 보다 편하게 개발이 가능하니
자신의 프로젝트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1. 우분투 부팅 USB 만들기
먼저 우분투 부팅 USB를 준비해주세요.
만약 없으시다면 최소 4GB의 USB와 함께 아래의 동영상을 따라 합니다.
(주의: 아래의 동영상은 하드 드라이브에 설치합니다. 부팅 USB만 만드시고 다시 돌아와 주세요!)
2. 우분투 설치 전: SSD 정리
Ubuntu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줍시다.
윈도우에서 디스크 관리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저 같은 경우 1TB SSD라 Disk 1이 SSD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잘못하면 윈도우를 날려먹을 수 있으니
다른 것은 최대한 건드리지 말고Disk 1을 정리해봅시다.
Disk 1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시고 볼륨 삭제를 선택해줍니다.
팝업창이 뜨면 확인을 눌러주세요.
아래와 같이 ‘Unallocated’라고 뜨면 우분투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 과정을 넘기고 우분투를 설치할 경우 SSD가 이미 사용 중이라고 뜨며
다시 윈도우에 돌아와서 해야 하니 부팅 USB 만드시고 바로 해주세요.
BIOS 화면에서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해 넘어오셨다면 거의 다 끝났습니다!
(어떻게 넘어가는지 모르신다면 다시 구선생님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3. 우분투 설치
설치하실 때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사진을 확인해주세요.
Installation type은 꼭! ‘Something else’를 선택 해주세요.
보통 하드디스크 의외의 다른 저장 장치들은 ‘/dev/sda’라고 불리며
장치 개수가 늘어날 수 록 알파벳 순서대로 ‘dev/sdb’, ‘dev/sdc’… 가 나타납니다.
저 같은 경우 ‘dev/sdd’가 SSD에 해당되며 이 free space에 파티션을 만들어 줍니다.
파티션은 Root, Home, swap이 필요한데요.
1. Swap area를 위한 8000MB
2. Root와 Home을 위한 나머지 용량을 할당시켜줍니다.
설정은 아래 사진 두 장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boot loader location을 SSD로 지정해줍니다.
저 같은 경우 ‘/dev/sdd’ 겠죠?
나머지는 현재 위치 설정 및 아이디, 비번 설정이니 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밑에 하트 눌러주세요!
반응형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 · PIXHAWK와 ROS를 이용한 자율주행 드론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
1. Pixhawk
이 프로젝트에는
(1) Pixhawk 보드 + PX4
(2) Raspberry Pi + ROS
이 사용 되었습니다. 일단 pixhawk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pixhawk홈페이지를 참조해서 설명하겠습니다.
Pixhawk is an independent, open-hardware project aiming at providing high-end autopilot hardware to the academic, hobby and industrial communities at low costs and high availability. It provides hardware for the Linux Foundation DroneCode project. It originated from the PIXHAWK Project of the Computer Vision and Geometry Lab of ETH Zuri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Autonomous Systems Lab as well from a number of excellent invididuals (Contact and Credits).
위 글은 홈페이지에서 pixhawk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입니다. 즉, 픽스호크란 독립적이고 오픈된 하드웨어입니다. 개발한 곳은 취리히 공과대학교의 Computer Vision and Geometry Lab와 Autonomous Systems Lab이고 낮은 가격으로 높은 수준의 오픈된 오토파일럿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픽스호크는 두 가지 flight stack을 제공하는데 바로 APM과 PX4가 그것입니다. 그 중에 PX4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APM이 좀 더 취미로 만드는 드론에 적합하다하면 PX4는 architecture가 상당히 잘 되어있어서 연구와 개발이 하기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ROS(Robot Operating System)과도 연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OS는 로봇을 위한 open-source, meta-operating system입니다. ROS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뒤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내용은 OROCA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openrt/2360
PX4와 ROS가 연동이 되려면 그 사이의 다리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MAVLINK입니다. mavlink란 micro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protocol로서 아래 페이지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qgroundcontrol.org/mavlink/start
MAVLink는 ETHZ의 Lorenz Meier에 의해 2009년에 개발이 되었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AVLink is a very lightweight, header-only message marshalling library for micro air vehicles.
다음은 공식적인 PX4의 dev페이지 입니다. 글을 작성하는 데 이 페이지를 많이 참고 하였습니다. http://dev.px4.io/
ROS가 아직 윈도우 환경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Ubuntu를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글의 처음은 Ubuntu를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하겠습니다.
2. Ubuntu 14.04 설치
1. 외장하드에 Ubuntu설치
Ubuntu 14.04버전 다운로드
저는 노트북의 HDD를 SSD로 교체하였고 교체한 HDD는 외장하드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이 외장하드에 Ubuntu를 설치하면 개발용 하드가 되는 것 입니다. 저는 현재 Ubuntu14.04버전에 ROS indigo버전을 사용 중입니다. Ubuntu 14.04버전은 홈페이지에서 다운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컴퓨터(32비트, 64비트)에 맞는 설치용 파일을 다운받아 주시면 되는데 저는 토렌트 파일로 다운 받았습니다. 사이트는 밑과 같습니다.
http://www.ubuntu.com/download/alternative-downloads
토렌트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Bootable USB stack만들기
OS를 깔려면 부팅할 외부장치가 필요합니다. 저는 그래서 안쓰는 USB를 그 부팅하는데 사용하려고 합니다. 우분투 홈페이지에 관련 내용이 올라와 있습니다.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create-a-usb-stick-on-windows
홈페이지에서 말하는 RUFUS USB intaller를 설치해주세요. 그리고 홈페이지에 나온 대로 따라하신 후에 USB를 꽂은채로 껐다가 키면 Ubuntu설치 창이 나옵니다.
Ubuntu 설치
윈도우가 켜질 때 F2를 누르시면 external device로 부팅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첫 화면에서 메뉴를 보면 install안하고 그냥 try만 해볼 수 있다는데 저희는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두번째 install ubuntu로 선택해줍니다
언어는 English를 선택해주시고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주신 다음에
여기서 중요한 게 기타를 선택하는 것 입니다.그 다음 페이지에서 sda가 있고 sdc가 있는데 순서대로 a,b,c, 이런식으로 이름이 붙기 때문에 usb가 꽂혀 있어서 HDD는 c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 sdc를 포맷하고 파티션을 새로 짜줘야합니다. 저는 다음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습니다.
http://deviantcj.tistory.com/434
여기서 말하듯이 파티션은 세가지로 나눠줘야하는데
주 파티션하나(/)
swap영역하나
논리파티션(/home)
이 있는데 (1)과 (3)에 마운트위치를 까먹으시면 안됩니다. 주 파티션에 저는 40기가를 할당했고 swap영역에는 보통 ram의 두 배를 사용한다합니다. 따라서 저는 4기가를 할당했고 나머지는 /home에 몰아줍니다. 여기가 작업할 공간이 됩니다. 이렇게 하시고 나머지는 쭉 해주시면 Ubuntu 14.04 설치가 완료됩니다!
2. 윈도우에서 우분투 듀얼부팅하기(멀티부팅)
http://palpit.tistory.com/765
위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에서의 외장하드 설치와는 다른 것은 현재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눠주고 나눠준 파티션에 우분투를 설치해준다는 것입니다. 그 파티션에서 우분투의 파티션을 정하는 것과 USB로 부팅하는 것등은 다 동일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단, 위 페이지에서 설명하지 않은 것은 파티션을 나누는 것은 4개의 파티션이 최대라서 그 이상으로 만들지 못합니다. 따라서 현재 파티션이 네 개인데 하나의 디스크(예를 들면 D드라이브)의 용량을 줄이고 우분투를 만들 파티션을 만들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하나를 없애줘야한다고 합니다. 또한 우분투의 파티션을 나누는 것은 설치할 때 설치화면에서 나눠도 되지만 설치하는 첫 화면에서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을 선택해서 우분투에 Gparted를 설치하셔서 하면 더 잘 된다 합니다. 제가 아는 지인도 이런식으로 문제를 해결했었습니다. Ubuntu에서 Gparted설치는 터미널창에서 다음을 실행시키면 됩니다.
애물단지 하드디스크에 리눅스 설치
지금까지 컴퓨터를 교체할 때마다 버리지 못하는 것이 하드디스크다. 저장돼 있던 자료들의 흔적 때문에도 그랬고, 뭔가 하드디스크에는 미련이 남았다. 그러다 보니 결국 안 쓰게 될 것이 분명해 보이는 하드디스크가 여럿 보인다. 특히 160기가 짜리 이놈.. 이거 처음 샀을 때는 용량이 꽤 되는 거였는데, 정말 이제는 쓸 일이 없어 보인다. 예전에는 가족사진 백업용 외장하드로 썼었지만, 이제는 이 용량도 모자란다. 그래서, 이 외장하드의 마지막 용도로 리눅스를 설치하기로 했다.
요즘은 리눅스도 엄청나게 좋아졌다. 예전에 키보드 설정이 어려워서 애먹었었지만, 리눅스는 조금 손 보면 한/영키도 잘 알아보고, 인터넷을 하는 데도 문제가 없다. 오피스 프로그램도 무료인데다가, 코딩을 하기에는 너무도 좋은 환경이다. 게임을 제외한 모든 작업에서 리눅스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아직까지는 리눅스 머신을 켰을 때 속도가 좀 빨랐으면 하는 생각도 들지 않기 때문에 외장하드 부팅만으로도 충분히 괜찮은 성능이 될 것 같다.
하드디스크 파티션 정리
그래서, 여기서는 외장하드에서 부팅이 가능하도록 리눅스를 설치하기로 한다. 우선은 설치할 외장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모두 지운다. [윈도우키]+[R]을 눌러 나오는 작은 창에 diskmgmt.msc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다음 그림과 같은 창이 뜬다.
여기에서 용량과 드라이브명 등을 참고로 해서 본인이 지우려는 하드디스크를 찾아 다음 그림처럼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메뉴에서 삭제를 눌러준다.
여러 칸으로 나눠져 있는 하드디스크라면 칸마다 모두 이 시행을 해서 모두 지워준다. 그러면 우선은 하드디스크 준비는 끝난 것이다.
Ubuntu ISO 다운로드
이제 Ubuntu를 준비하자. 예전에는 CD나 DVD로 리눅스 설치용 매체를 만들어서 했지만, 어차피 버릴 물건을 만들 필요는 없다. 집에서 굴러다니는 USB 메모리스틱을 하나 준비해 두자.
이제 Ubuntu를 받으러 가자. 다음에 보이는 그림은 홈페이지에 접속한 상태다. 사진에 보면 웹페이지 주소가 있다.
상단 메뉴에서 “Downloads”를 선택해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곳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Ubuntu Desktop”이라고 된 글자를 클릭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뜬다. 여기서 초록색 상자로 표시된 “Download”를 클릭한다.
그러면 다음 그림과 같은 화면이 뜨면서 아래에 다운로드후 작업을 물어본다. 당연히 저장을 눌러준다.
설치용 USB 만들기
다운로드를 하는 동안 뒤로가기 키를 눌러 초록색 다운로드 버튼이 있던 화면으로 가 아래로 스크롤을 하면 다음과 같은 세 박스가 나온다. 이 박스 중에서 가운데 박스의 두 번째 파란 글자를 눌러준다.
그러고 나온 화면의 왼쪽 메뉴에서 “2”번 메뉴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Rufus”라는 파란 글씨를 클릭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Rufus 홈페이지 화면이다.
Rufus 홈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다운로드 목록에서 가운데에 있는 “Rufus 3.0 Portable”을 클릭한다. 이것은 Rufus를 설치하지 않아도 설치용 USB스틱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
iso file도 다 다운로드 됐고 Rufus도 다운로드가 끝났으면 방금 받은 Rufus를 실행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준비된 USB 스틱을 끼운다.
그러면 USB스틱이 인식이 되면서 비어있던 “장치”에 아래와 같이 방금 꽂은 USB가 나올 것이다. 혹시라도 나오지 않는다면 USB가 인식이 됐는지 확인하고 목록에서 골라준다.
“부트선택”의 상자를 눌러서 좀전에 받은 ubuntu iso파일을 선택해 준다.
뭔가 경고창이 뜬다. 설치를 원하면 예를 눌러야 한다. 설명에서도 나오지만 인터넷은 되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특별한 선택 없이 그냥 ok를 누른다.
경고창이 마지막으로 뜬다. 확인을 누른다.
아래 그림은 프로그램이 작업중인 상황이다. 시간이 좀 걸린다.
다음 창이 뜨면 설치용 USB가 준비 된 것이다.
Ubuntu 설치
이제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켤 때 좀전에 만든 메모리스틱으로 부팅하도록 해준다. 시스템에 따라 방법은 조금 차이가 있으나, 분명한 건 부팅 미디어 목록에서 UEFI가 포함된 메뉴는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음 화면은 현재 컴퓨터의 바이오스에서 부팅메뉴를 연 것이다. 나는 메뉴의 아래쪽에 있는 “General USB Flash Disk”를 선택했다. 참, 설치할 외장 하드디스크도 컴퓨터에 연결하고 켜둬야 한다.
뭐, 이것저것 시도해 보는 것도 괜찮다. 부팅이 잘 되면 다음 화면이 나타날 것이다. 왼쪽 목록에서 한국어를 선택한다.
그러면 설치화면이 한국어로 바뀐다. “Ubuntu 설치”를 선택한다.
한글키보드가 기본적으로 두 개 선택이 되어 있다. 일단은 그냥 둔다.
그러면 다음 화면이 나오는데, 사진에 표시된 맨 아래 것은 원래 선택이 되어있지 않던 것이다. 그냥 설치해도 되고 사진처럼 선택해도 좋다.
그러면 다음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컴퓨터에 분명히 윈도우가 있는데 운영체제가 없다고 나온다. 문제 없으니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다음과 같이 선택하고 “계속하기”를 누른다.
여기서 조심해야 한다. 모든것을 설치프로그램이 처리하도록 해뒀기 때문에 잘못하면 멀쩡한 하드를 날릴 수 있다. 좀전에 연결한 외장하드를 메뉴에서 찾는다. 하드디스크 용량과 모델번호가 나와 있으니까 잘 확인하고 선택한다. 여기를 넘어가면 돌이킬 수 없다.
앞단계에서 “지금설치”를 누르면 마지막으로 확인창이 뜬다. 계속한다.
여기서 사용자이름과 비밀번호를 선택한다. 이름칸을 입력하는 동안 적절한 사용자이름과 컴퓨터이름이 생성되는데, 취향에 따라 바꿔도 된다. 암호만 일치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거주지를 물어본다. 그냥 두면 되겠다.
이제 설치가 시작된다. 다음 사진은 설치중 나오는 화면 중 하나다.
다음 화면이 무사히 뜨면 설치가 끝난 거다.
이제 바이오스에서 외장하드만 선택해주면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다. 외장하드라서 좀 느리기는 하다. 처음 부팅시는 더욱 느리니까 부팅할 때 좀 기다려야 한다. 일단 부팅이 끝나면 속도는 봐줄만하다.
휴대용 외부 하드 드라이브에 Ubuntu를 어떻게 설치합니까?
Ubuntu package + Python 2.7 + C compiler
관리 도구에서 Windows Zone Manager를 사용합니다.나는 이것들은 모두 Home Premium에서 살 수 있다고 믿는다.파티션이 축소되지 않으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파일을 삭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사용 가능한 공간이 충분하지만, 크기가 작지 않으면, 마이 디버그 같은 무료 파편정리 도구를 사용해서 파일을 파편정리해서 구역의 시작으로 이동할 수 있다.
Ubuntu live 설치 미디어에 있는 gparted 를 사용합니다.이것은 아마도 더욱 간단한 방법일 것이다.
gparted
sda
sdb
ext4
/
linux-swap
gparted
ext4
/
linux-swap
sudo apt-get install gcc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Reference 이 문제에 관하여(휴대용 외부 하드 드라이브에 Ubuntu를 어떻게 설치합니까?),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이 문제에 관하여(휴대용 외부 하드 드라이브에 Ubuntu를 어떻게 설치합니까?), 우리는 이곳에서 더 많은 자료를 발견하고 링크를 클릭하여 보았다 https://dev.to/stackallflow/how-to-install-ubuntu-on-a-portable-external-hard-drive-4lma 텍스트를 자유롭게 공유하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문서의 URL은 참조 URL로 남겨 두십시오. 우수한 개발자 콘텐츠 발견에 전념 ( Collection and Share based on the CC Protocol. )
외장 하드 드라이브 시스템 설치운영 체제: Windows 7휴대용 외장형 하드 디스크 USB 2.0에 Linux Ubuntu를 설치하고 싶습니다.나는 각양각색의 방법을 읽었지만, 나는 서로 모순되는 건의와 방법에 헷갈렸다.사실 깨끗한 PC에 Ubuntu를 설치하는 것은 Windows를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해 보인다.설치가 필요합니다.내 외장 하드디스크 부분이 꽉 차서 모든 파일을 보존해야 한다.Ubuntu는 Windows 시스템 폴더 및 레지스트리에 아무런 기록도 하지 않고 외부 하드 드라이브에서 완전히 실행됩니까?누가 외부 하드디스크에 Ubuntu를 어떻게 설치하는지 상세한 안내를 발표할 수 있습니까?공인된 답안매우 상세한 답안이 한 문제의 범위를 넘어섰지만, 여기에는 대체적인 대강이 있다.이것은 매우 쉽지만, 성공은 어느 정도에 컴퓨터가 외부 하드디스크에서 시작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이것은bios에 달려 있다.시작하기 전에bios에 USB HD에서 부팅하는 옵션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기본 설치, Python2.7, C 컴파일러만 있으면 Ubuntu를 상당히 작은 구역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Ubuntu가 설치해야 할 최소 값을 잊어버렸는데, 대략 8GB입니다.드라이브를 교체하려면 2-4GB를 추가하여 최소 10GB를 권장합니다.파티션을 위한 공간 만들기이 경우 설치하기 전에 새 구역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먼저 외부 하드 드라이브의 기존 파티션을 줄여야 합니다.USB HD를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하지만 두 번째가 있다면 직접 설치할 수 있다.하드 드라이브의 용량에 따라 하드 드라이브를 완전히 백업할 수 없습니다.적어도 중요한 파일은 백업해 보세요.이것은 데이터가 안전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고와 예방 조치일 뿐입니다.기존 파티션을 축소하는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새 파티션 생성Ubuntu live 설치 미디어를 만들고 이를 사용하여 컴퓨터를 시작합니다.Ubuntu를 선택합니다.외부 하드 드라이브를 삽입합니다.부팅 프로그램.만약 외부 하드디스크의 구역을 축소하지 않았다면 지금 하세요.대부분의 경우 내부 HD는, 외부 HD는로 나타나지만 장담할 수 없다.gparted에서 정확한 HD를 보았는지 확인하십시오.파티션을 축소하면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 남습니다.이걸로 새 구역을 만듭니다.를 (으)로 포맷합니다.분구 번호를 기록하다.이것은에 사용됩니다.교환 구역은 필요하지 않지만, 필요하면 새 구역을 필요한 크기로 축소하거나, 우선 축소할 수 있습니다.공간을로 포맷합니다.새 구역의 번호를 적어 두세요.설치 프로그램 실행데스크톱이나 이니시에이터의 아이콘에서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설치 방법을 묻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SomeTour Other 를 선택합니다.이것은 설치 프로그램의 구역 구분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와는 달리 초보자에게는 좀 무섭다.새 파티션을 자세히 강조 표시하고(번호 및 드라이브 확인) [변경]을 클릭합니다.다음 대화상자에 따라 조작: a. 구역을, b. 불러오기와 c. 포맷으로 사용합니다.스왑 파티션을 강조 표시하고 변경 을 클릭합니다.a를 선택하면 됩니다.중요: 부트 로더의 설치를 USB HD로 변경합니다.이것은 아마도일 것이다.이것은 하드디스크의 메인 가이드 기록을 덮어쓰지 못하게 합니다.(이것이 의외라면 복구하기 쉽다.조닝(Zoning) 선택을 검토하고 지금 설치를 클릭하십시오.이렇게Ubuntu를 실행하려면 USB를 삽입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시작합니다.bios 순서를 설정하거나 USB HD를 첫 번째 부트 위치로 이동합니다.usb의 시작 메뉴에 Ubuntu (외부 드라이브) 와 Windows (내부 드라이브) 가 표시됩니다.네가 원하는 것을 선택해라.만약 usb가 없는 상태에서 컴퓨터를 켜면, Windows에 정상적으로 들어갈 것입니다.Ubuntu에는 기본적으로 Python 2.7이 설치되어 있습니다.C comiler를 설치하려면 터미널을 열고 다음을 실행하십시오.또는C 프로그래밍에 유용한 추가 프로그램을 원하는 경우가상 시스템에서 Ubuntu를 실행하려면 Windows에 VirtualBox 또는 VMWarePlayer를 설치합니다.둘 다 공짜예요.새 가상 머신을 만들고 설치 프로그램 미디어를 사용하여 가상 머신에 설치합니다.하지만 이번에는 구역을 걱정하지 마세요.전체 가상 드라이브에 Ubuntu를 설치하도록 선택합니다.이것은 하드디스크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외부 하드 드라이브에 가상 머신을 배치하려면 가상 머신을 만들 때 기본 위치를 덮어쓰고 외부 드라이브의 폴더에 가상 머신을 배치해야 합니다.LiveUSBCreator와 같은 Windows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설치 미디어를 만들 수도 있지만 이 옵션은 매우 느릴 수 있습니다.게시물 How to Install Ubuntu on a Portable External Hard Drive? 이 가장 먼저 Stack All Flow 에 올라왔다.
우분투 12.04 편법으로 외장하드에 설치해보기
Girl, Wash Your Face: Stop Believing the Lies About Who You Are so You Can Become Who You Were Meant to Be Rachel Hollis
(3/5)
Free
외장하드에 Ubuntu 설치하기
얼마전에 ZYBO Z7-20 보드에 데비안을 포팅하려고 Ubuntu에서 환경설정 중
bash shell 삭제 커멘드를 입력하니 Ubuntu GUI 환경이 날라갔습니다.
그래서 Ubuntu 16.04 버전을 내장메모리(SSD SATA)에 다시 설치했습니다.
여러번 설치하다보니 이제 Ubuntu 설치는 쉽네요…
설치할 때 참고한 링크입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aekjongchan&logNo=220841609613
우분투는 한글로 설치하더라도 폴더 그리고 파일명은 영어로 생성되게 변경했습니다.
우분투도 다시 설치했으니 사물인터넷을 위한 리눅스 프로그래밍 책 초반부를 다시 복습해볼까 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다음은 Bing에서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Ubuntu 18.04 듀얼부팅 설치 방법 왕초보도 가능
- Ubuntu 설치
- 듀얼부팅
- 우분투 설치
- 우분투 18.04
- Ubuntu 듀얼부팅
- 우분투 듀얼부팅
- Ubuntu 18.04
- Ubuntu 18.04 설치
- Ubuntu 듀얼부팅 설치
- 우분투 듀얼부팅 설치
- Ubuntu 18.04 듀얼부팅
- 리눅스
- Linux
- Linux 설치
Ubuntu #18.04 #듀얼부팅 #설치 #방법 #왕초보도 #가능
YouTube에서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buntu 18.04 듀얼부팅 설치 방법 왕초보도 가능 | 외장 하드 우분투 설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